본문 바로가기

하라는 공부는 안하고/컴퓨터하고있네

갑자기 NAS가 만들고 싶어졌다. #1

이유가 있을까?


라즈베리파이로 충분했던 것 같은데

그냥 컴퓨터 부품을 만지고 싶었나보다.





하드웨어를 준비하자


베어본pc를 살까 생각했었지만

어제 치킨을 먹었기 때문에 예산은 4만원이다.

그리고 오늘 저녁 야식을 위해 5천원을 빼서 총 3만5천원이 있다.

이걸론 라즈베리파이1도 간당간당할거라 생각한다.

그래서 집에있는 부품들을 이용하기로 했다.


집에 남아있는 부품은 hdd와 ddr2메모리가 있었다.

MB:      G31랜덤

CPU:     Q6600

RAM:     DDR2 1G 5300 X 2

HDD:     500GB X 2

PSU:      TFX 280W


CPU, MB, PSU를 배송비 5,000원 포함 31,600원에 구매했다.






OS를 설치하자


써본 리눅스가 라즈비안밖에 없으니 데비안을 쓰는게 편하겠다.

놀랍게도 "데비안 얻기"라고 되어있는 사이트다.

인터넷 연결에 따라, 다음 중에서 받으세요:


아마 64비트 완전한 설치 이미지로 받으면 실패하지 않을 것 같다.

ODD가 없으니까 USB부팅으로 설치해야겠다.


부팅 USB만드는 프로그램이 아마 guruf였을거다.

https://rufus.akeo.ie/

Rufus였네.

다운받은 iso파일을 선택하고, 안쓰는 USB를 선택한다.







기본 설정대로 다 예만 눌러도 될 것 같다.


USB를 꼿고 바이오스 설정화면에 들어가서 USB를 부팅 우선순위로 잡았다.

USB를 USB장치가 아니라 HDD로 인식하기도 하나보다.






무사히 부팅되면 두개의 설치 방법이 있는데

두개의 차이점이라곤 마우스를 쓸 수 있냐 없냐의 차이인것같다.

키보드밖에 없으니 텍스트모드로 설치한다.









귀찮아서 랜선을 안꼿아두었으니 네트워크를 잡지 못할 것이다.
넘어간다.







호스트 이름은 아마 서버이름이 될 것 같다.







root계정의 암호라고 하니까 기상천외한걸 적어주자.











두번째 디스크는 USB같으니 sda의
주 /논리    500.1 GB         남은 공간

을 선택해서 적당하게 파티션을 설정한다.







뻘짓하는 것보다 남은 공간을 자동으로 파티션 해주는게 좋을 것 같다.

그래도 나는 뻘짓을 했다.


하드디스크의 시작부분 15%정도를 tmp, var, usr같은걸로 쓰고,

나머지를 로컬 저장소로 만들었다.


부팅할 파티션을 주파티션으로 하고, 나머지를 논리파티션으로 했다.


스왑은 메모리의 두배인 4 GB로 했다.


부팅 가능 플래그는 켜줘야 될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

자동으로 설정해보니까 꺼짐으로 해도 되는 것 같다.







뻘짓이니 넘어가자






뻘짓이니 넘어가자






...이 붙어있는 것은 데스트톱 환경같은데 Cinnamon이 먹을 수 있는 거니까
Cinnamon으로 했다. 어차피 대부분 SSH로 접속할 것 이지만 혹시 모르니 설치해둔다.

그리고 SSH server도 설치한다.






저거 설치 안하면 부팅이 안되더라

이미 부트로더가 있는게 아니면 꼭 깔자고 다짐한다.






하드디스크를 선택하면 설치가 끝날 것이다.






전원이 꺼지면 USB와 모니터 케이블을 빼고, 인터넷 선을 연결한 뒤 구석에 짱박아둔다.

그리고 무사히 부팅이 되도록 물떠놓고 기도한다.






간단한 설정을 해두자


SSH로 접속해서 유저로 로그인 한 뒤

sudo apt-get update

를 하면 비밀번호를 물어보고, 허용된 유저가 아니라고 한다.

라즈베리파이처럼 sudo권한과 비밀번호를 묻지 않게 해보자.


su

로 root계정으로 로그인 한다.

그리고

visudo

를 입력하면

root    ALL=(ALL:ALL)    ALL

%sudo    ALL=(ALL:ALL)    ALL

이런게 있는데 대충 눈치껏 제일 밑줄에다가


bigfood    ALL=(ALL)    NOPASSWD:    ALL

이런식으로 적어준다.

출처: http://todactodac.blogspot.com/2016/07/ubuntu-sudo.html



그럼 라즈비안을 설치했을때 pi계정처럼 sudo를 비밀번호 없이 쓸 수 있을 것이다.

sudo apt-get update

sudo apt-get upgrade

를 해서 패키지를 업데이트하고, 야식먹으러 가자